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3 '한국의 서원' 9곳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지난달 30일부터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를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이번에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된 '한국의 서원'은 소수서원(경북 영주), 도산서원(경북 안동), 병산서원(경북 안동), 옥산서원(경북 경주), 도동서원(대구 달성), 남계서원(경남 함양), 필암서원(전남 장성), 무성서원(전북 정읍), 돈암서원(충남 논산) 등 총 9곳입니다. 서원이라는 기관은 조선시대에 성리학을 가르치던 기관입니다. 한때 6백여 곳에 이를 정도로 전국적으로 성행한 체계적인 교육기관이었다는 점은 유교 문화권에서 드문 사례라고 하더군요.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에 대.. 2019. 7. 7. [한글날 바로알기]한글날과 훈민정음의 정의, 역사, 의의 학창시절, 한글날이 다가오면 학교에서는 글짓기 대회가 열리곤 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글을 사용하여 글짓기를 하는 것은 한글날을 기념하는 학교의 작은 행사였죠. 올해로 572돌을 맞은 한글날에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리기도 합니다. 세종대왕께서 백성을 위해 만든 문자(文字), 한글을 기념하고 세종대왕님의 업적을 기리는 날이 바로 '한글날'이죠. 덕분에 우리는 쉽게 글을 적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양력 10월 9일, 이제는 법정공휴일이 된 한글날을 맞아 오늘은 한글날과 우리 글자인 한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한글날의 정의와 역사 세종대왕이 훈민정음(訓民正音), 즉 지금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반포한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 2018. 10. 8.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류(한국의 전통 산사 7곳 포함) 한국의 전통 산사 7곳이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새롭게 등재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세계유산으로는 13번째, 문화유산 중에서는 12번째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이번에 등재된 산사 7곳을 포함하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유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세계가 인정한 우리나라의 문화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 1.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등재) 해인사 장경판전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던 15세기 건축물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팔만대장경 역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어 있지요. 장경판전 내 전면과 후면, 즉 남쪽과 북쪽의 창호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습도와 온도가 자동으로 조절, 유지시키는 시대를 앞선.. 2018. 7. 2. 이전 1 다음